“어떤 고등학교를 선택해야 하나요?”
2025년 현재, 중학생과 학부모가 대입을 준비하는 방식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단순히 “일반고냐, 특목고냐”를 넘어서, 학교별 교육과정을 살펴야 하는 시대가 왔습니다.
이는 2022 개정 교육과정(고교학점제)와 2028 대입 개편 때문인데요,
더 이상 “명문고”라는 이름만 보고 선택할 수 없습니다.
진로에 맞는 과목 선택이 가능한가?
그 과목이 실제로 열리는가?
이 질문이 입시 성패를 가르는 기준이 됩니다.
고교 유형별 교육과정과 2028 대입 분석
1️⃣ 고교 유형별 특징과 교육과정 차이
고교 유형특징주의할 점
일반고 | 국가 교육과정 표준에 가장 부합 | 학교별 교육과정 편성 편차 큼 |
과학중점학교 | 과학 교과 의무 이수 높음 | 사회/국어 과목 수강 제한 있음 |
과학고 | 수학·과학 집중 교육 | 조기졸업 축소 및 의대 진학 제약 |
자사고·외고·국제고 | 비교적 자율적인 교육과정 운영 | 학교 간 차이 매우 큼 |
✅ Check Point: 과학고는 단순히 ‘성적’으로 가는 게 아니라,
압축 교육과정을 따라갈 수 있는지와 의대 진학 의향까지 고려해야 함.
2️⃣ 2022 개정 교육과정(고교학점제)의 기대와 한계
요소기대현실
과목 선택권 | 진로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 가능 | 개설 과목 수 제한으로 현실적 어려움 많음 |
학습 자율성 | 스스로 시간표 설계 | "한 학기 3학점 원칙"으로 과목 수 제약 큼 |
이수 과목 수 | 증가 기대 | 과거보다 큰 차이 없음 (과학 기준 약 8과목) |
특히 과학계열 진학 희망 학생이라면,
3학년 1학기까지 배울 수 있는 과목 수와 심화 과목 개설 여부가 결정적입니다.
2015 교육과정보다 학습량과 심화 수준이 오히려 줄어드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A고 vs B고: 교육과정이 진학 결과를 가른다
<예시 비교>
항목A고등학교B고등학교
기하 | 개설 | 미개설 |
프로그래밍 | 개설 | 미개설 |
인공지능기초 | 개설 | 미개설 |
과학 일반선택 이수 가능 수 | 2과목 이상 | 1과목 한정 |
📌컴퓨터공학과 진학 희망자라면 B고는 불리할 수 있습니다.
입시 평가에서 이수 과목 내역은 지원 전형에 직접 반영됩니다.
고교 선택, ‘명문’보다 ‘과목’이 중요하다
2028 대입은 단순 스펙 중심에서 벗어나
“교육과정 이수 내용 기반의 진로 중심 평가”로 변화 중입니다.
따라서 지금 중학생이라면 다음 순서를 따라야 합니다:
- 진학 희망 학과/계열 명확히 하기
- 후보 고등학교들의 교육과정편제표 열람
- 희망 과목이 실제 개설되는지 확인
- 고교 유형보다 개별 학교의 ‘운영방식’에 집중
특히 일반고 중에서도 교사 수가 많고 과목 개설이 유연한 학교가 유리합니다.
당신을 위한 3줄 요약
- 2028 대입은 ‘학교 이름’보다 ‘교육과정’이 성패를 가름
-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학교별 과목 개설 여부가 매우 중요
- 입시 성공 전략은 원하는 진로와 고교 교육과정의 정확한 매칭
3 line summary for you
- 2028 college admissions focus more on courses taken, not school name.
- Choose high school by checking its curriculum, not just reputation.
- High school choice should align with your target university major.
째깍째깍...흘러가는 시간 붙잡고 싶다면?
Study Duck 학습 타이머 즉시 ON! 랭킹 경쟁 참여하고 학습 습관 만들 기회, 놓치지 마세요!
Study Duck팟빵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92491
Study Duck 유튜브
'교육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Y에 특목·자사고 줄었다”… 2025학년도 입시, 누가 웃고 누가 울었나? (0) | 2025.07.07 |
---|---|
“이젠 놓치지 마”… 2026 반수, 성공하는 아이들의 비밀 전략 (0) | 2025.06.28 |
2025년 고1부터 생기부 마감일 사라진다: 수험생 필수 가이드! (0) | 2025.06.25 |
2026학년도 신설 학과로 똑똑하게 진로 준비하기 (0) | 2025.06.25 |
이공계 전 주기 지원! 이재명, 인재육성 법령 전격 통과 (0) | 202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