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관련뉴스

2026학년도 신설 학과로 똑똑하게 진로 준비하기

by Study Duck 2025. 6. 25.

안녕하세요, 학습 컨설턴트 스터디덕입니다! 😊 2026학년도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이라면, 새롭게 신설된 첨단 학과들에 주목해야 합니다.

산업 트렌드에 맞춘 의료인공지능, 반도체공학, 바이오메디컬, 배터리학과 등 다양한 학과들이 여러 대학에서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이 글에서는 신설 학과 정보를 정리하고, 이를 활용해 효율적으로 입시를 준비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 2026학년도 신설 학과, 어떤 것들이 있을까?

2026학년도에는 동국대, 서강대, 서울과기대, 성균관대, 세종대, 연세대, 중앙대 등 주요 대학들이 첨단 기술과 산업 수요를 반영한 학과들을 새롭게 선보입니다. 아래는 주요 신설 학과와 특징입니다:

  • 동국대:
    • 의료인공지능공학과: 의료와 AI 기술의 융합! 학생부종합전형(13명), 교과전형(5명), 논술전형(5명)으로 선발.
    • 지능형네트워크융합학과: 네트워크 기술과 AI의 결합. Do Dream(8명), 기회균형통합(2명), 교과전형(4명).
  • 서강대:
    • 반도체공학과: SK하이닉스와 별개의 일반 학과로, 학생부종합전형(14명), 교과전형(3명). 입학 후 조건 충족 시 1천만 원 장학금 지급!
  • 서울과기대:
    • 바이오메디컬학과: 혁신신약, 디지털헬스 중심. 교과전형(7명), 종합전형(16명).
  • 성균관대:
    • 배터리학과: 삼성SDI 연계 채용조건형 학과. 학생부종합(13명), 교과전형(5명).
    • 바이오신약·규제과학과: 바이오 산업 전문가 양성. 종합전형(12명), 교과전형(5명).
  • 세종대:
    • 양자지능정보학과: 첨단 기술의 정수! 교과전형(8명), 세종창의인재(14명), 논술전형(6명).
    • 국방AI로봇융합공학과: 해병대 협약 학과로, 정원 외 24명 선발.
  • 연세대:
    • 모빌리티시스템전공: 자율주행, 친환경 자동차 전문가 양성. 교과전형(4명), 종합전형(8명), 논술전형(3명). 3년 조기졸업 가능!
  • 중앙대:
    • 지능형반도체공학과: 학생부종합전형(10명)으로만 선발.

2. 신설 학과, 왜 주목해야 할까?

신설 학과들은 산업 수요미래 트렌드를 반영해 설계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반도체, AI, 바이오, 배터리 등은 현재와 미래의 핵심 산업으로, 졸업 후 취업 전망이 밝습니다. 특히:

  • 장학금 및 채용 연계: 서강대의 반도체공학과(장학금 1천만 원), 성균관대의 배터리학과(삼성SDI 연계) 등은 경제적·취업적 혜택이 큽니다.
  • 첨단 기술 교육: AI, 양자정보, 바이오메디컬 등 최신 기술을 배우며 미래 리더로 성장할 기회!
  • 전략적 입시 기회: 신설 학과는 과거 입시 데이터가 없어 경쟁률 예측이 어려운 만큼, 전략적으로 접근하면 합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3. 신설 학과 입시, 이렇게 준비하세요!

(1) 학생부종합전형 적극 공략

신설 학과는 대부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많은 인원을 선발합니다. 예를 들어, 서강대 반도체공학과(14명), 연세대 모빌리티시스템전공(8명) 등은 종합전형 비중이 높습니다. 이를 준비하려면:

  • 수학·과학 역량 강화: 첨단 학과는 수학, 과학 교과 성적이 중요합니다. 내신 관리와 함께 심화 학습 활동(탐구, 동아리 등)을 통해 전공 적합성을 어필하세요.
  • 활동 보강: 기말고사 후 동아리, 대회, 봉사활동 등을 통해 전공 관련 역량을 채워넣으세요. 예를 들어, AI 학과 지원자는 프로그래밍 프로젝트를, 바이오 학과 지원자는 생물 관련 실험 활동을 준비하면 좋습니다.

(2) 자유전공의 한계 인지

대부분 신설 학과는 자유전공학부로 입학 시 진입이 제한됩니다. 동국대와 서울과기대는 예외적으로 허용하지만, 서강대, 성균관대, 연세대 등은 불가능하니 지원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

(3) 과거 데이터 참고

신설 학과는 입시 결과가 없어 경쟁률 예측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유사 학과의 전년도 합격 커트라인, 경쟁률을 참고해 지원 전략을 세우세요. 예를 들어, 반도체공학과 지원자는 전자공학과 데이터를, 의료인공지능학과 지원자는 컴퓨터공학과 데이터를 분석해보세요.

4. 스터디덕의 학습 팁: 신설 학과 지원자를 위한 공부법

  • 목표 설정: 지원하고 싶은 학과를 정하고, 그 학과가 요구하는 역량(예: 코딩, 과학 탐구)을 구체화하세요.
  • 시간 관리: 내신, 모의고사, 비교과 활동을 병행하려면 효율적인 시간 관리 필수! 하루 30분씩 전공 관련 심화 학습 시간을 확보하세요.
  • 자소서 준비: 학생부종합전형은 자기소개서가 중요합니다. 전공 관련 활동과 열정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연습을 시작하세요.
  • 멘토링 활용: 선배나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 학과별 커리큘럼과 취업 전망을 미리 파악하세요.

5. 마무리: 미래를 잡는 첫걸음

2026학년도 신설 학과는 단순한 학과 선택이 아니라, 미래 산업의 중심에 서는 기회입니다.

첨단 기술을 배우고, 취업 전망을 높이며, 장학금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이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스터디덕이 응원합니다! 💪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물어보세요. 다음에도 유용한 학습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 😄

째깍째깍...흘러가는 시간 붙잡고 싶다면? 

Study Duck 학습 타이머 즉시 ON! 랭킹 경쟁 참여하고 학습 습관 만들 기회, 놓치지 마세요!

www.studyduck.net

Study Duck팟빵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92491